역대급으로 노력한 날
오늘 미션이 지난 9일차의 실패를 겪은 후, 그보다 더 어렵다고 느꼈다. 나름 이론 공부를 하고, 구현 과정에서도 틈틈히 학습을 이어갔다. 구현 ↔ 학습이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었고, 파면 팔수록 새로운 이론이 나와서 생각 과정을 활성화 시킬 수 있던 날 같다. 어렵다고 느낀 만큼 열정을 담아 미션에 임했다. 취침 시간은… 아침 8시쯤이었다.. ㅎㅎ
학습을 파본날
계속 미션 해결과 학습의 연속으로 내용들을 정리하진 못했지만, 빼먹은 학습 내용은 없는 것 같다. 물론 이해는 시켜놓되, 내것으로 만들어내는 시간이 없었어서.. 그 결과 설계에도 영향을 끼친게 아닐까 싶지만.. 😂 일단 이론적인 실제 동작 흐름과 동기, 비동기, 스케줄링 등 학습을 할 수 있었다..
설계에 대해서…
아직 미션마다 미션을 해석하고 좋은 설계를 짜는게 미흡한 것 같다. 오늘은 설계 과정의 검증 단계를 거치지 못해서 모든 구현이 끝나고 돌아봤을 때, 또 설계를 엎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벤트 루프를 아예 빼먹었고.. 복잡하단 느낌을 받았다. 앞으로 미션에서는 해설 영상에서처럼 기본 스케치나 생각 정리를 해보고, 설계를 하고, 검증까지 해봐야겠다.
테스트에 대해서…
단위 테스트를 알게되었지만, 아직은 계속 직접 아래에 실행시켜보는 코드를 작성해서 테스트하게 되는 것 같다. 과정 도중에 콘솔 입력에 따라 결과도 달라지고, 앞선 기능의 구현이 뒤까지 영향을 끼치다보니 그런 것 같기도 하다. 처음에는 직접 콘솔에 치고, 제대로 들어가고 있는지 콘솔에 찍어보면서 확인을 하기에 테스트 코드 작성보다 쭉 콘솔을 통한 테스트를 하게 되버린달까… 단위 테스트는 하나의 메소드 완성 → 테스트, 다음 기능 구현이 정석인지.. 지금처럼 쭉 1차 완성을 해보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도 괜찮을지 알아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