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분석 방법 선택한 이유를 적어주세요.
      • 주제 선정 이유

        저희 7조의 분석 주제는 ‘GA4 데이터로 프로덕트 분석하기’입니다.

        해당 주제를 선정한 이유는 팀원 중 한 명이 GA4를 활용한 사이드 프로젝트를 준비중에 있기에 GA4로 수집한 로그 데이터를 전처리부터 인사이트 도출까지 경험해보고싶다고 얘기하기도했고, PM으로의 근무 경험이 있는 팀원도 있으므로 분석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다같이 즐거운 마음으로 프로젝트에 임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 분석 방법

        • DAU, WAU, MAU 분석
        • 유저별 평균접속시간 분포
        • 방문 주차에 따른 코호트 생성 및 코호트별 Weekly 리텐션 구하기
        • 요일/시간대별 사용자 수 구하기
  • 프로젝트 관련 질문

    • 팀 전체

    • 팀원 개인별로 작성해 주세요.

      • 동제님(리텐션 측정 관련)

        • 방문자 리텐션을 구할 때 total.visits 컬럼으로 구하는게 맞을까요?

          → 측정기준을 ‘방문’을 기준으로 한다면 날짜별로 total.visits counting

      • 정희님

        • train dataset의 ‘fullVisitorId’, ‘visitId’, ‘sessionId’ 컬럼 각각의 정의가 다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fullVisitorId’ 컬럼의 경우 유저별 고유한 Id이고, ‘visitId’의 경우 유저가 웹사이트에서 발생시킨 여러 session을 묶어서 나타낸 id이며, 마지막 ‘sessionid’는 유저가 사이트에서 session을 발생시킬때마다 생성되는 id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DAU, WAU, MAU를 측정할때는 위 세가지 기준 중 아무 것이나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 퍼널분석 時 session 기준으로 counting

          → session id로 DAU, MAU, WAU 구하기

        • 유저별 평균접속시간 분포 관련

          • ‘접속시간’의 경우 일자별/id별 마지막 session시간에서 처음 session 시간을 빼면 되는지?

            → Yes

        • 방문 주차에따른 코호트 분석

          • 주차(week) 계산은 ‘date’컬럼을 써야하는지, ‘visitstarttime’컬럼을 써야하는지?

            → date컬럼 사용

        • 코호트별 weekly 리텐션 측정

          • ‘코호트별 weekly retention’의 의미가 주차별 측정기준의 비율을 의미하는건지?(예를 들어 2주차 전체 방문자 / 0주차 전체 방문자) → Yes

          • 히트맵은 아래와 같이 만들면 되는지?

            → 0주차 포함돼야 함

          Untitled

  • 이외에도 기술적인 방향을 잡기 위한 질문을 정리해두시면 가장 좋습니다!

    리텐션 라이브러리(retention library)

    : 리텐션, 코호트 차트 손쉽게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https://doc.retentioneering.com/2.0/doc/step_matrix.html#centered-step-matrix

  • 숙제: 멘토링 결과 중간 점검까지 해올 일

    • 팀 전체

    • 팀원 개인별로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