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SuA0409/BioAI/blob/main/proj_diabetes/t1d_vs_t2d.py
좌측 fig1. T1D_NOD와 T2D_db/db UMAP 클러스터링 결과.
우측 fig2. UMAP 기반 clustering 결과
⇒ T1D에는 cluster 2와 3이, T2D에는 cluster 0, 1, 4가 형성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좌측 fig3. cluster 별 T1D와 T2D 비율
우측 fig4. 조건(T1D/T2D) 별 cluster 비율
⇒ 두 조건(T1D/T2D) 간 세포 군집 구성의 차이가 뚜렷하게 존재함.
fig5. 각 cluster 별 gene marker의 결과 (상세 내용은 첨부한 .txt 참고)
fig6. DEG 분석 결과.
상위 7개의 유전자 search 결과 (https://www.bgee.org/)
Gene identifier | Name | Description |
---|---|---|
ENSMUSG00000086503 | Xist | inactive X specific transcripts |
ENSMUSG00000063316 | Rpl27 | ribosomal protein L27 |
ENSMUSG00000024121 | Atp6v0c | ATPase, H+ transporting, lysosomal V0 subunit C |
ENSMUSG00000004366 | Sst | somatostatin |
ENSMUSG00000060802 | B2m | beta-2 microglobulin |
ENSMUSG00000113902 | Ndufb1-ps | NADH:ubiquinone oxidoreductase subunit B1 |
ENSMUSG00000000394 | Gcg | glucagon [Source:MGI Symbol |
⇒ 당뇨 관련 기능 연구에 대한 자료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