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ad>
<!-- HTML Meta Tags -->
<meta charset="UTF-8" />
<title> MCP입문 </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 MCP입문 " />
<meta name="keywords" content="교사를 위한 MCP, 학교 MCP, 교육 MCP, 양파고, Yang Phago, 노션, 양파고 노션, notion" />
<!-- Open Graph / Facebook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MCP입문 "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 교사를 위한 MCP, 학교 MCP, 교육 MCP, 양파고, Yang Phago, 노션, 양파고 노션 "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대표 이미지" />
<meta property="og:url" content="페이지 주소" />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head>
<aside> 💡 양파고의 한마디: MCP를 사용하는자와 그렇지 못한자로 구분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 LLM ➡️ LAM ➡️ AI Agent➡️ MCP 그 다음은?
</aside>
!엔트로픽의 공식 설명: https://www.anthropic.com/news/model-context-protocol
MCP 핵심 키워드: 표준화 + 양방향 통신
✔️ MCP(Model Context Protocol)
구분 | 역할 | 설명 |
---|---|---|
호스트 | AI 모델 실행 |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 ||
MCP 클라이언트를 관리 | ||
(예: Claude Desktop) | AI 모델이 깔려 있는 앱이나 프로그램 |
사용자가 요청하면 이 호스트가 MCP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 | | 클라이언트 | 호스트와 서버 간의 통신 담당하메시지 가공 및 문맥 구성 수행 | 호스트와 서버를 연결해주는 중간 다리: 호스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의 흐름 관리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조정 ➡️ 여러 MCP 서버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음 | | 서버 | 외부 API, 도구, 기능 모듈과 같은 외부 리소스 제공 | 실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곳 ➡️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예: 검색, DB 조회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