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설계
- 인프라는 반드시 구축 목적이 있음
-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건(기능, 성능, 비용, 기간 등)을 기준으로 인프라를 기획하고 설계하여야 함.
인프라 구축
- 인프라 구축의 단계
- 기기 운반 → 조립 → 장착 → 설치 → 설정 → 동작 테스트 → 부하 테스트 등
- 업계별 분류
- SI(System Integration) 업계
- CE (Customer Engineer)
- SE (System Engineer)
- NE (Network Engineer)
- 웹 기반 업계에서는 따로 역할 분담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인프라 운영
- 인프라는 24시간, 365일 내내 가동되어야 함
- 자체적인 교대 운영 조직을 만들 수 없는 경우,
IT 인프라 운영 관리 업자인 MSP에게 위탁하기도 함.
- 인프라 운영의 분류
- 장애 대응
- 하드웨어의 고장
- 급격한 액세스 증가
- 부적절한 권한 설정 등
- 수용량 관리
- 액세스 수나 데이터의 양에 따라 인프라의 부족이나 과잉 문제를 파악하여 적절한 조정이 필요
-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
- 프로그램 버그
- 애플리케이션 설정 실수 등
- 대응 가능한 부서에게 장애 대응 요청
02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퍼실리티
- Facility 라는 영단어의 뜻(건물, 시설, 설비)과 같이
데이터 센터와 센터를 구성하는 랙, 에어컨, 발전기, 변압기 등의 모든 설비를 의미
서버, 스토리지
- 서버 :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program or device)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 스토리지 :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공간
네트워크
-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
03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