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의 탄생: 브라우저와 HTML의 등장 (1989-1995)
(1) 정보의 분산과 접근성
1980년대 말, 전 세계의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정보 공유와 협업에 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1) 해결책: 월드 와이드 웹, HTML, 그리고 브라우저의 탄생
- **팀 버너스 리(Tim Berners-Lee)**가 월드 와이드 웹의 개념을 제안하고 개발했습니다.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 문서 구조화와 하이퍼링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최초의 웹 브라우저인 WorldWideWeb이 개발되어 HTML 문서를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결과
- 정보의 통합과 접근성 향상: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문서를 쉽게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플랫폼 독립성: HTML은 어떤 운영 체제나 하드웨어에서도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어, 정보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글로벌 정보 네트워크의 기반 마련: 월드 와이드 웹의 개방적 구조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유 네트워크의 급속한 성장을 가능케 했습니다.
<!-- 초기 HTML 문서의 예시 -->
<!DOCTYPE html>
<html>
<head>
<title>My First Webpage</title>
</head>
<body>
<h1>Welcome to the World Wide Web</h1>
<p>This is a simple webpage created using HTML.</p>
<a href="<https://info.cern.ch>">Learn more about the birth of the Web</a>
</body>
</html>
2. 정적에서 동적으로: 인터랙티브 웹의 도전 (1995-2005)
(1) 사용자 상호작용의 한계
1990년대 후반, 웹은 주로 정적인 정보 제공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사용자가 웹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단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대부분 단순한 하이퍼링크 클릭을 통한 페이지 이동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1) 해결책: JavaScript와 동적 HTML의 발전
- Brendan Eich가 Netscape Navigator를 위해 JavaScript를 개발했습니다 (1995).
- DOM(Document Object Model) 조작: JavaScript를 통해 웹 페이지의 구조와 스타일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