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atory 검사

패혈증과 관련된 기본적인 검사는 혈액 검사이다. 혈액 검사는 CBC(전혈구계산)과 Blood culture(혈액배양) 검사로 나뉜다.

Microscopic morphology of WBC, RBC, PLT: W/G stain. x400

Microscopic morphology of WBC, RBC, PLT: W/G stain. x400

혈액배양 검사

혈액배양 검사

Blood culture의 검사진행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자.

검사결과는 균이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Negative를 의미하는 문장으로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에 기록한다. 균이 자란 경우는 균명을 기록한다. 또한 체외에서 어떤 약이 잘 듣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항생제 감수성검사 결과를 기록하는데, Resistant, Sensitivity 와 같이 단계로 표현한다. 최근에는 질량분석기의 한 종류인 MALDI-TOF 검사법을 이용하면 전통적인 방법보다 신속하게 세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Blood culture의 검사 방법

결론적으로 Blood culture는 세균(미생물)이 심각히 유해한 균인지, 어떤 항생제를 사용할지를 판별하는 검사이다. 다음 내용에서 어떤 세균이 패혈증을 일으키는지 살펴보자.

임상 미생물의 분류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과 공기 중에는 무수히 많은 미생물이 있다. 그 중에 일부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균 등이 감염을 일으키는 임상미생물로 분류된다. 임상 미생물은 정상적으로 우리 몸에 살고 있는 미생물(인체 상재균)과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병원성 미생물)로 분리되는데 분류되는 종류에 따라 예후와 치료약제 등이 달라진다. 면역저하 환자에 있어서는 정상적으로 우리 몸에 살고 있는 세균이 감염을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단독으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 튜토리얼에서는 병원성 미생물에 집중하기로 하였다.

아래는 혈액배양에서 검출되는 주요 병원성 임상미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