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백함수란?
- 자신이 아닌 다른 함수에, 인수로써 전달된 함수를 의미함

- sub라는 함수를 값으로써 main 함수의 인수로 전달
- main 함수의 value에는 sub라는 함수가 들어오게 됨
- 이로써 value 매개변수에 저장된 함수를 main 함수 안에서 호출시켜줄 수 있음
- 여기서 sub를 콜백함수라고 함
코드

콜백함수의 활용

- repeat()과 repeatDouble()은 구조가 거의 비슷함
- 매번 구조는 비슷한데 복붙하여 쓰는건 너무 비효율적이고 중복 코드가 발생함

- repeat() 내부에 콜백 함수를 작성하여서 구조를 개선
- repeat()의 매개변수
- count ⇒ 단순히 몇 번 반복할지 정하는 숫자
- callback ⇒ 각 반복에서 실행할 함수
- for문을 돌면서 i를 1부터 count까지 증가시키고, 그때마다 callback(i)를 호출함
- 즉, repeat는 단순히 반복문만 관리하고, 그 안의 기능은 콜백 함수에 위임하는 구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