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를 발견하고 정의하였는가?
- 배경 : 우리가 국내에서 전시를 보며 오디오가이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전시기획사의 대규모 전시나 국립중앙박물관 정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전시에서 오디오가이드 서비스를 이용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외국인과 고객은 메이저 전시외에도 소규모 갤러리나 미술관을 찾고 있으며 이들은 더 깊은 해설을 듣고 싶어 한다. 니즈가 있음에도 오디오가이드 서비스가 더 많이 보급되지 못하는 이유는 고객에게 별도의 비용 부과를 하지 않는 관행과 높은 제작 비용 때문이다.
- 문제정의 : 오디오가이드는 왜 더 많이 보급되지 못하는가
📌어떤 가설을 세웠는가?
- 배경 : 높은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 가지는 성우 녹음 비용과 오디오가이드 단말기 대여/구매 비용이다. 성우 녹음을 대체하여 TTS(Text to speech)기술을, 오디오가이드 단말기를 대체하여 개인의 모바일폰을 활용함으로써 도입 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 가설 : 오디오가이드 제작 비용을 낮추면 더 많은 사람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결과(물)를 만들어냈는가?

오디오 가이드 플랫폼, DOCY
웹에서 제공되는 오디오가이드 에디터를 통해 기획자가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콘텐츠를 소속된 뮤지엄페이지에 업로드하면 관람객이 자신의 폰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내려받아 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가이드 플랫폼 서비스이다.

- 글로벌청년창업활성화사업 실리콘밸리부문 15인 선정
- 국내외 뮤지엄과 제휴, 국립중앙박물관 적용
- 베타 서비스 론칭 이후 사업 정리
📒무엇을 배웠는가?
- 기술 수준의 완성도보다 해당 기술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가 더욱 중요 : TTS기술의 경우 실제 성우 녹음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시장의 보수적 고객들에게는 낯설고 신뢰하기 어려운 기술로 인식되었다.
- 외부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위해서는 명확한 표현이 중요하며 합의된 문서 필요 : 외주 개발사와 협력하여 개발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미스로 인해 많은 리소스를 낭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