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셀리의 발표를 맡은 팀 NCT의 양지호 입니다. 우선 목차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 | --- | --- | | 1 | 저희는 서비스 소개, 라이브 시연, 트러블 슈팅, 마무리 순으로 발표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 2 | 먼저 서비스 소개 입니다! | | 3 | 저희는 기업 연계 프로젝트로서 위와 같은 프로젝트 명세서를 받았습니다. 프로젝트 주제는 미술품 공동 소유 리셀러 플랫폼의 구현입니다. 명세서에서 키워드를 뽑아보았는데요, NFT, 리셀링, 소유권 분할, NFT wallet 연동입니다. | | 4 | 여러분 리셀링과 공동 소유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개인적으로 저는 리셀링이라는 단어가 조금 생소해서 처음에 저희 프로젝트에 대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는데요, 리셀링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한 뒤, 중고거래를 통해 재판매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보통 중고물품은 새 상품보다 가격이 낮은 편이죠. 그러나, | | 5 | 세월이 흘러도 감가가 일어나지 않는 자산, 예를 들어 부동산, 명품, 미술품 등은 중고물품이 새 상품 보다 더 비싸게 거래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러한 자산들에 대한 리셀링 마켓이 매우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방금 말씀드린 부동산, 명품, 미술품과 같은 품목은 저 같은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금액대로 형성이 되어 있죠. 그렇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그래서 | | 6 | 공동 소유, 즉 조각투자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조각투자는 다수의 투자자가 소유권을 조각처럼 쪼개 갖는 것입니다. 작은 조각만 구매하는 것인 만큼 소액 투자가 가능해져 진입 장벽이 완화됩니다. 이 두가지 개념이 미술품에 합쳐진! 미술품 공동 소유 리셀러 플랫폼은 | | 7 | 현재 아트테크 라는 이름으로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구글에 아트테크 라고 검색을 해보시면 위와 같은 기사들을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 | 8 | 그래서, 저희는 미술품 공동 소유 리셀러 플랫폼으로서, 프로젝트에 셀리라는 이름을 붙이고 개발에 착수하였는데요, 이 단계에서 셀리에서 취급할 미술품을 NFT로 한정지었습니다. 왜냐하면, 실제 저희 프로젝트의 서비스가 가능해지려면 리셀링할 물품의 타겟을 배송, 보관등의 문제가 있는 현실의 미술품이 아니라 디지털 자산인 NFT 작품이 더 용이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현존하는 플랫폼들과 셀리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 | 9 | 저희는 포지셔닝 맵을 그려 다른 아트 테크사이트와 비교해서 셀리가 가져야할 포지션을 파악했습니다! 대부분의 조각 투자를 할 수 있는 아트테크 플랫폼에서는 조각 투자가 가능한 미술품을 플랫폼 측에서 정하여 판매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작품을 판매하고 싶은 작가 입장에서는 접근성이 어려워지게 되고, 구매자 입장에서는 투자하고 싶은 미술품 선택에 제한이 생기게 됩니다. | | 10 | 반면 다른 NFT 거래 플랫폼에서는,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작품을 NFT로 민팅하고 판매할 수 있지만, 조각 투자의 기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작품의 값이 비싸, 수요자 입장에서 참여가 어려운 점이 있죠. | | 11 | 셀리는 이 두가지 플랫폼들의 장점을 가져가고자 하였습니다. 누구나 본인의 디지털 작품을 NFT로 민팅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이를 분할하여 거래하는 서비스 또한 제공합니다. | | 12 | 셀리가 제공하는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인 기능으로는 유저 간 NFT 조각 거래와 IPFS를 이용하여 NFT를 민팅하고 원하는 조각 수로 NFT를 분할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추가로 NFT 검색과 정렬이 가능하고, NFT를 많이 판매한 유저에게 자동으로 인증 뱃지를 수여합니다. 수익을 관리하고 작품과 작가의 랭킹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이 있으니 셀리에서 직접 이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 13 | 저희의 서비스를 보여드릴 때가 온 것 같습니다! 시연을 담당하는 박재경 교육생, 나와주세요! | | 14 | 저희 시연은 잘 보셨나요? 이번에는 저희에게 주어진 과제를 위해 어떠한 해결 과정을 거쳐왔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 | 15 | 우선 트래픽 처리입니다. | | 16 | 동시 접속자 1만명, DAU(Daily Active User) 10만 트래픽 처리가 저희에게 주어진 과제였는데요. 가장 많은 부하가 발생할 것 같은 Explore페이지에 Locust를 활용해 트래픽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실제 테스트에서도 동시 접속자수가 1만명인 상태에서 10만 트래픽을 발생할 경우에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 | 17 | 그렇다면 어떻게 셸리는 이렇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까요 ? 만약에 모든 서비스들이 하나의 서버에만 구축되어있으면 어떨까요? 저는 작품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은데 판매 서비스쪽에서 장애가 생겨 서비스가 마비가 된다면 전체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 | 18 | 그래서 저희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위해 각 기능별로 서비스를 나눔으로서 판매 서비스가 장애를 일으켜도 다른 서비스의 영향을 주지 않고 다른 서비스들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Spring Cloud를 통해 MSA를 구축했습니다. | | 19 | MSA를 활용한 트래픽 분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는 Spring Cloud Gateway를 이용한 로드밸런싱을 진행하였습니다. Spring Cloud Eureka 서버에 각 서비스의 이름을 등록하여 요청이 들어왔을 때 게이트웨이가 Eureka 서버에서 알맞은 서비스로 연결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를 사용함으로 서비스의 uri, 포트번호로 서비스를 식별하는 것이 아닌 서비스 명으로 요청을 보내기 때문에 각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요청을 분산시킬 수 있었습니다. | | 20 | 다음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진행한 최적화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 21 | 구글 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웹사이트 로딩시간이 3초 이상이 되면 32%, 5초 이상은 90%의 이탈률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웹사이트의 로딩속도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요소인데요! | | 22 | 초기 셀리 사이트는 미술품을 다루기 때문에 이미지가 많아 사이트 초기 로딩 시간이 3.7초로 나쁜 유저 경험을 제공 했습니다. 가장 부하가 많은 explore페이지를 구글 성능 분석 도구로 테스트를 해봤는데요. 모두가 빨간색인게 보이시죠? 그래서 저희는 사용자를 위해 최적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 23 | 첫번째로 이미지 cdn을 사용하여 필요이상으로 큰 이미지의 크기를 줄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 다운로드 시간을 4분의 1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 | 24 | 두번째로 코드 분할을 통해 서버에서 보내주는 리소스의 크기를 줄여 초기 로딩 속도를 줄였습니다.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다운로드가 된 이후부터 실행하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걸리는 시간만큼 화면에 뜨는 시간도 오래걸립니다. 그래서 페이지나 모듈 별로 코드를 분할하여 처음 웹페이지에 들어갔을 때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켰습니다. 메인 모듈 사이즈가 5분의 1로 줄었고 전체 모듈 사이즈도 5% 감소했습니다. | | 25 | 이러한 성능 개선을 통해 초기 로딩 속도를 3.7초에서 0.4초로 기존의 10분의 1로 개선 할 수 있었습니다. | | 26 | 마무리로 팀원 소개를 하고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 | 27 | 6주동안 멋진 프로젝트를 만든 팀원입니다. 박재경, 양지호, 박성배, 이윤경, 김지영, 황상윤 이렇게 6명이 팀을 꾸려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 | 28 | 누구나 쉽게 만나는 예술. 셀리에서 아트테크를 경험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Q&A 시간 갖겠습니다. |
| 메인 홈 | | 안녕하세요! 예술과 투자의 건전한 만남! 셀리 라이브 시연을 진행하게 된 박재경입니다.
저와 같이 셀리에서 아트테크를 경험해볼까요? |
| --- | --- | --- |
| 홈 | 캐러셀
| 현재 보고 계시는 페이지가 셀리의 메인 페이지인데요.
홈에서는 이렇게 현재 거래가 가장 많이 되고 있는 작품을 볼 수도 있고 |
| 홈 | 랭킹을 본다
| 지금 인기 많은 작가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osaic 작가님이 현재 1등이시네요! |
| Create | | 셀리에서는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는데요,
여기 create 페이지에서 이렇게 이미지와 설명들을 입력하여 본인의 작품을 NFT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
모두들 빨리 오셔서 본인만의 NFT를 가져보세요!
현재 민팅할 그림이 없기 때문에, |
| Sell1 | | 바로 판매페이지로 가보겠습니다. 사실 제가 6주 전에 푸르게
라는 기부 사이트에서 기부를 해서 받은 nft가 있거든요.
셀리에서는 외부 사이트에서 얻은 NFT 또한 분할 판매가 가능합니다.
이 페트병을 purgae라는 이름을 적고, 10000조각으로 분할하여 판매를 해보겠습니다!
0.0001 이더로 판매 정보를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 볼게요 |
| Sell2 | | 아 그런데 총 4단계의 서명을 거쳐야 하네요.
생각보다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미리, 짜잔! 세번째 단계까지 진행한 페이지를 준비해 놓았습니다
바로 서명해볼게요! 이렇게 서명을 클릭하면 메타마스크를 통해 서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 Sell3 | 3단계 서명
| (천천히 말하기..!)
NFT 조각화는 NFT를 금고 컨트랙트에 맡기고 소유 지분을 나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4단계의 서명을 거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가진 NFT를 금고에 넣고 조각으로 나누어야 하는 꽤나 까다로운 작업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
| Sell4 | 4단계 서명
| (천천히 말하기..)
아, 마지막단계네요. 빨리 서명을 해서 판매 등록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셀리는 조각으로 나눈 NFT를 블록체인에서 관리해서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 것 같습니다.
셀리 서비스가 종료되어도 블록체인에 거래 기록이 저장되어서 내가 소유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작품을 만든 작가도 아닌 제가 소유하고 있는 NFT를 이렇게 조각으로 나누어서
아트테크에서 작품을 공급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신기한 경험인 것 같아요! |
| 홈 | | 판매 등록이 완료되었네요! |
| explore | | explore 페이지로 가보니 제가 판매 등록한 NFT가 보이네요! 다른 NFT도 구경해볼까요? |
| explore | | explore에서는 이렇게 카테고리 별로 구분해서 작품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
| explore - 디지털 | 카드 호버
, 스크롤
| 또한, 가격 순, 등록 일 순으로 정렬 기준이 존재하여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원하는 NFT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작품을 하나 구매하고 싶은데, 저는 미술에 좀 문외한이라 어떤 작품을 구매해야할 지 모르겠는데요 ?
전 인기 많은 작가의 작품을 사고싶어요~~
아까 홈에서 잠깐 봤던 1등 작가님 작품을 보러가볼까요? |
| 검색 | | mosaic작가님이였죠? |
| 프로필 페이지 | Created 탭에서 스크롤
| 이렇게 인증마크가 달린걸 보니 믿을 수 있는 작가님이 맞는 것 같아요!
와 작품이 엄청 멋있는데요?!!! |
| 프로필 페이지 | onSale 탭을 클릭
| 프로필의 ForSale 탭에서는 현재 판매 중인 NF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이 작품을 구매해보겠습니다. |
| NFT 상세 페이지1 | 구매
| 뭔가 빈센트 반고흐의 별이 빛나는 느낌이 나기도 하고 굉장히 멋있는 작품 같아요!
어! 근데 잠깐만요! 0.0001ETH에 살 수 있는 조각은 딱 20개가 남았네요!
빨리 구매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조각으로라도 멋진 미술품을 구매할 수 있다니 정말 좋네요!
미술품은 부자들만의 취미 생활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말이죠…
구매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상세페이지를 구경해볼게요~ |
| NFT 상세 페이지2 | 컨트랙트 주소 클릭
| 상세페이지에는 nft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특히 여기 실제 블록체인 컨트랙트 주소가 있어서
이 nft가 실제로 블록체인에 있다는 사실과 누가 어떻게 거래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NFT 상세 페이지4 | 판매 등록 모달
| 거래 섹션에서는 이렇게 현재 구매할 수 있는 조각 구매 수량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옆에 구매하기 버튼이 없는 조각은 현재 제가 판매등록 했던 조각으로 다시 구매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렇게 내가 현재 보유한 수량을 판매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이전에 저렴하게 구매한 조각을 다시 비싸게 재판매함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겠죠?
판매 현황 버튼을 클릭하면 본인의 판매 현황이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좀 더 쉽게 소유 조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NFT 상세 페이지5 | | 하단에는 작품의 거래 기록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합리적인 구매를 도와줍니다
또한, 공유 버튼이 있어 손쉽게 친구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맘에 드는 작품을 발견하면 언제든지 카카오톡으로 친구들에게 공유해보세요!
아! 상세 페이지를 설명하는 동안 NFT 구매가 완료된 것 같습니다.
그럼 프로필 페이지에서 제가 구매한 조각들을 확인해볼까요? |
| 프로필 | Fractions
| 이렇게 나의 프로필 페이지에서는 현재 제가 소유 하고 있는 조각을 기준으로 얼마나 수익이 발생했는 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과 같이 구매가 대비 최근 거래가를 기준으로 수익을 산출합니다!
여기서 제가 아까 구매한 조각들을 확인할 수도 있구요! 구매한 조각 별로 제가 올린 수익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 프로필 | ForSale
| 그리고 제가 아까 판매 등록한 푸르게 NFT도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NFT 상세 페이지 | 프로필 호버
| 제가 분명 이렇게 만 조각으로 분할했는데 벌써 10개 빼고 다 팔렸네요!
지갑에 1이더가 넘게 들어있네요! 저도 셀리의 유명작가가 될 수 있을까요?
이렇게 아트테크를 경험해봤는데요
미술은 비싸고 어려운 줄만 알았는데 셀리와 함께라면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아요~! |
| | | 이상으로 셀리 시연을 맡은 박재경이였습니다 >ㅁ<
그럼 양지호 팀원에게 다시 자리를 넘기겠습니다! |